
통합검색 결과
-
[버스] 노선버스 이용자 안전교육
노선버스의 정의 노선버스는 「대중교통의 육성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」 제2조제2호 및 「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」 제3조제1항제1호에 따라 노선을 정하여 여객을 운송하는 승합자동차를 말합니다. * 세부적으로는 시내버스(광역급행, 직행좌석, 좌석형, 일반형), 농어촌버스(광역급행, 직행좌석, 좌석형, 일반형), 마을버스, 시외버스(고속버스, 직행버스, 일반형버스)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. 노선버스 이용자의 안전교육 내용 &n...
키워드 노선버스, 추돌, 전복, 화재, 질식, 협착, 대중교통, 버스
-
[어린이안전] 가정 내 아동, 어린이 안전
아동 안전가정 내 아동 안전이란, 아동에게 위험한 상황이 생기거나 사고가 날 염려가 없는 상태로, 신체적 안전뿐 아니라 심리적·정서적 안전까지 포함합니다. 생후 3개월이 되면 몸부림을 쳐서 구르기를 할 수 있으며 6개월 정도가 되면 혼자 일어나 앉을 수 있습니다. 9개월이 되면 드디어 기어 다니거나 뒤뚱거리며 걷기 시작합니다. 이때부터 손으로 사물을 잡으려 하고 잡은 것을 입으로 가져가려는 행동을 보입니다. 걸음마기(1~3세)는 주변이나 사물에 대해 왕성...
키워드 어린이, 미끄럼, 화상, 추락, 이물질, 흡인, 넘어짐, 부딪힘, 아동, 안전
-
[기타 교통안전] 비행기 탑승사고 안전
비행기 사고비행을 목적으로 사람이 비행기에 탑승한 순간부터 하차 시까지 항공기 운용과 관련해 발생한 모든 사고 항공기 사고 주요 위험 (항공사고의 거의 80%는 착륙과 이륙의 직전에 발생한다.) ⅰ. 조종사의 판단ㆍ조작 실수 ⅱ. 기상의 영향(악천후) ⅲ. 정비과실 ⅳ. 항공기의 설계 결함 ⅴ. 장치의 고장 ⅵ. 결빙 ⅶ. 과적 비행기 안전수칙 ① 승무원의 안내방송에 따라 행동하기&nbs...
키워드 항공기, 비행기, 추락, 기내
-
[기타 교통안전] 자동차 급발진 사고 대처 방법
급발진이란? 급발진이란 자동변속기가 장착된 차량이 정차 혹은 주행 중 운전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차량이 갑자기 급가속하는 현상엑셀을 끝까지 강하게 밟은 것처럼 RPM이 급격하게 상승하여 돌진하는 증상 >>> 급발진 상황은 운전자를 공황상태에 빠지게 만들어 운전자가 제대로 된 대처를 하기 힘들게 합니다. 자동차 급발진 사고 대처 방법 모든 페달에서 발을 떼어, 가속 페달을 밟고 있지 않다는 것을 확인한 후에도 ...
키워드 급발진, 브레이크, 돌진, 변속기, 점검
-
[건설안전] 겨울철 건설현장 안전
겨울철 주요 재해● 난방기구 사용에 따른 화재 발생 ● 갈탄에서 발생한 일산화탄소 중독·질식● 폭설로 인한 가설구조물의 붕괴● 한파로 인한 한랭질환 중점 관리사항● 난방·전열기구, 용접 작업에 대한 화기 관리책임자 지정 및 점검상태 이상 여부 확인● 화재 발생에 대비한 근로자 화재 예방 교육 실시 여부 확인(소화시설 사용법, 대피로 인지 등)● 화재위험작업 장소에 화재감시자 배치● 밀폐공간 작업시 통풍...
키워드 겨울철 추락, 무너짐, 화재, 폭발, 중독, 질식, 폭설, 결빙
-
[바이러스 안전] 코로나 감염병 예방 및 안전 수칙
마스크 의무 해제- 설 연휴 이후 (1월 30일)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 1단계 시행주요 내용○ 국내‧외 코로나19 동향 및 조정지표 충족(3개 지표 참고치 달성)을 고려하여 1단계 의무 조정 가능 상황으로 평가①환자 발생 안정화②위중증·사망자 발생 감소③안정적 의료대응 역량 3가지 지표가 참고치를 달성하였고④고위험군 면역 획득 지표 항목 중 감염취약시설 동절기 추가접종률 또한 1.13.을 기점으로 참고치 달성- 신규변이 및 해외...
키워드 코로나
-
[자전거] 자전거 안전사고
자전거란? 자전거란 사람의 힘으로 바퀴를 회전시켜 움직이는 2륜차를 말하며, 발로 밟는 힘을 페달 크랭크 기구체인을 거쳐 뒷바퀴에 전달하게 되어 있다. 주요 위험요인 √ 보도주행 중 보행자와 접촉 √ 브레이크 및 기어의 고장으로 주행 중 사고 √ 교통신호를 무시하고 주행 중 교통사고 안전대책 ● 자전거 전용도로 이용- 자전거 주행 시 가급적 자전거 전용도로를 이용 ...
키워드 자전거, 바이크, 주행, 충돌, 교통사고, 브레이크 ,기어, 고장, 안전, 대책, 보호구, 재해, 사례, 수칙
-
[자연재해] 봄철 해빙기 안전사고
해빙기란? - 사전적 의미로는 얼음이 녹아 풀리는 때를 의미하며, 법적으로는 구체적 정의나 기간이 정해져 있지는 않지만, 매년 2~4월을 전후로 기상 상황 및 지역 여건 등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있음- 겨울철에 토양에 함유되어 있던 수분이 얼어붙어 토양이 부풀어 오르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였다가 해방기가 되면서 토양 내의 수분이 녹아 지반이 침하되어 시설물 구조를 약화시키고 균열 및 무너짐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음 해빙기...
키워드 해빙기, 봄, 균열, 침하
-
[어린이안전] 어린이 빙판길 낙상사고
어린이 빙판길 낙상사고 위험한 이유유아, 어린이는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균형감각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성장판 손상, 손목, 팔목, 팔꿈치, 무릎 등 골절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관심과 주의가 필요 성장판 손상의 경우 성장장애가 나타날 수 있으니 관절 부위에 멍울이 만져지거나 한쪽으로 휘어짐과 같은 증상이 발생한다면 즉시 병원에 방문하여 정밀 검사 필요 낙상사고 예방법 ① 걷는 자세- 상체를 숙이고 무게중심을 앞으로 한 채, ...
키워드 빙판길, 낙상사고, 골절, 겨울
-
[기타 교통안전] 겨울철 교통사고 예방
겨울철 교통사고 원인자동차 히터 사용으로 인한 졸음 운전, 블랙 아이스로 인한 교통사고 겨울철 화재의 주요 원인과 예방대책 주요 원인예방대책 ① 자동차 히터 사용으로 인한 졸음 운전 ▶ 환기 시키기- 최소 30분에 1~2회 이상 창문을 열어 환기하기 ▶ 휴식 취하기- 졸음 쉼터, 휴게소 등이 보이면 충분한 휴식을 취한 후 출발하기 ▶ 히터 사용 시 바람을 얼굴 아래로 향하게 하기- 차 안이 ...
키워드 겨울, 히터, 졸음, 운전, 블랙 아이스, 교통사고, 화재